결코 소멸되지 않을 자명한 사물에 바치는 헌사
아름다운 책, 훼손된 책, 도난당한 책, 사인받은 책… 죽도록 갖고 싶었고, 마침내 가질 수 있었고, 결국엔 갖지 못한 책들… ‘책’이라는 사물 앞에 털어놓는 어느 애서가의 속 깊은 애정 고백
“초콜릿이 사라질 수 없듯 종이책도 사라지지 않을 거라 믿는 사람들에게”
결코 소멸되지 않을 자명한 사물에 바치는 헌사
19세기 말까지만 해도 인류의 새로운 발명품인 자동차가 말을 대체할 운송 수단이 될 거라고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러나 결국 수천 년 동안 짐과 사람을 실어 나르며 번영을 누리던 말은 삽시간에 도시에서 사라졌다. 지금은 책이 그런 운명에 처해 있는 듯하다. 책도 말과 같은 운명에 처하게 될까? 따지고 보면 책이라는 사물은 결국엔 사라질지 모른다는 위기에 끊임없이 직면해왔다. 유튜브와 팟캐스트, 스토리 콘텐츠를 제공하는 다양한 플랫폼은 급속도로 성장해 새로운 세대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았다. 이런 현상들은 책이란 존재를 더욱 위기로 몰아넣는 듯하다. 정말 그럴까?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서관과 헌책방을 허기진 눈빛으로 배회하거나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판본별로 수집하는 이들은 여전히 어딘가에 존재한다.
아날로그 문화와 디지털 문화가 혼재된 21세기에 이런 복잡다단한 상황은 정말 기술이나 세대의 문제일까? 종이책 외에 다른 대안은 존재하지 않을 것만 같던 세상에서 태어나고 자라 이제 60대에 접어든 독일의 한 작가는 《책에 바침》을 통해 책, 그것도 ‘종이책’을 둘러싼 아련한 기억들을 소환한다. 또한 저자는 종이책이 맞닥뜨린 불안한 현재와 미래를 두고 “책이 언젠가 내 곁을 떠나게 되면, 내가 잃어버리게 될 것들”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결국 이 책은 책과 책의 알맹이인 텍스트, 이 둘을 누릴 때 가장 행복하다고 느끼는 사람들, 어쩌면 결국 사라질지도 모르는 우리의 ‘책 문화’와 이를 둘러싼 ‘소박한 기억들’에 대한 이야기인 셈이다. 안타깝기는 하지만 또 다른 한편으론 두꺼운 사전, 먼지 냄새 가득한 헌책방, 이동식 도서관 버스처럼 우리 곁에서 차츰 사라져가고 있는 것들에 아쉬움을 담아 보내는 작별의 인사이기도 하다.
우리를 행복하게도 난처하게도 슬프게도 하는 책들
“그럼에도 책 없이 산다는 건 상상할 수조차 없다”
책을 찾아 방황하다가 이전에는 세상에 존재하는지조차 몰랐던 책 몇 권의 주인이 되고 나면 우리는 근사한 착각에 빠지곤 한다. 내가 실제로 이 책들을 골랐을까? 실은 이 책들이 나를 선택한 건 아닐까? 이건 순전히 우연일까? 아니, 숙명 같은 건 아니었을까?
저자도 ‘배회하는 애서가’로서의 경험을 털어놓는다. 젊은 시절 벼룩시장과 헌책방을 이 잡듯 뒤지고 다니던 그는 가장 좋아하는 작가의 희귀 초판본을 ‘운명처럼’ 발견했다. 그런데 처참하게도 그 책은 열 페이지가량이 분실된 상태였다. 오로지 ‘그때 왜 그걸 사지 않았을까’ 하고 후회하지 않기 위해 그 책을 샀지만, “훼손된 텍스트의 사체를 위한 종이 관에 지나지 않는” 그 책을 저자는 결코 좋아할 수 없었다.
저자는 또 한편으로 오랜 세월 동안 동고동락해왔던 책과 이별한 순간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여섯 권짜리 영화 백과사전은 그의 집필실 책상 위에 당당히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것은 페이지 여백에 짤막한 영화평 등을 오랫동안 정성스레 적어둔 그만의 ‘영화 안내서’였다. 그러나 그 백과사전은 ‘모든 정보가 담긴’ 인터넷에 자리를 내주며 지하실로 유배 보내져야만 했고, 예상치 못한 물난리로 인해 지하실에서 최후를 맞이하고 말았다.
한때 종이책은 미성숙과 무지와 편견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고 미래의 온갖 가능성을 약속해주던 거의 유일한 수단이었다. 종이책이라는 사물이 지닌 고유한 물성과 존재감, 책 주인의 개성이 담겨 있어 특별한 온기를 발산하는 책장, 종이 냄새와 먼지 냄새 가득한 오래된 서점과 도서관 등, 이 책에서 저자가 들려주는 사연을 좇다 보면 이런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책 없이 산다는 건 상상할 수조차 없다”고.
“책은 내 동반자이자 동거인이었고 조력자이자 친구였다”
책에 죽고 책에 사는 사람들을 위한 또 하나의 ‘책 이야기’
저자는 이 책의 말미에서 “독자 여러분이 이 글의 모자란 부분을 페이지 여백에 보충해준다면, 책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써 넣어준다면 기쁠 것이다”라고 말한다. 저자의 말처럼 《책에 바침》 한국어판에는 책 사랑으로 둘째가라면 서러울 우리나라의 대표 독서가들이 자신만의 이야기를 덧붙여 의미를 더했다. ‘로쟈’라는 필명으로 유명한 서평가 이현우는 “미친 사랑의 한 사례”라며 책이 상전이 되어버린 장서가의 삶을 고백한다. 책을 팔지는 않지만 미치도록 읽고 싶게 만드는 유튜브 ‘겨울서점’의 김겨울은 이 책을 두고 “종이책이 저자를 빌려 자신을 지키기 위해 만든 또 하나의 제방”이라 말한다. 이들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어느새 이런 믿음이 생긴다. “그럼에도 책은 책을 잉태하고, 곳곳에 자신의 자손을 꽂아둠으로써 계속해서 그 수명을 연장시킬 것”이라는 믿음이.
《책에 바침》이라는 책 제목이 가리키듯 이 책은 잊혀지고, 버려지고, 수집되었다가 다시 내팽개쳐지고, 온전치 못하더라도 사랑받았던 책들, 그렇게 기꺼이 우리에게 도달하려 하는 모든 책들에 바치는 헌사이다. 또한 이 책은 쓰고, 만들고, 홍보하고, 판매하고, 읽는 모든 사람들과 함께 나누는 또 하나의 ‘책 이야기’이다. 책을 다 읽는 속도보다 새로 사들이는 속도가 더 빠른 사람, 책의 띠지조차도 버리지 못해 따로 모아두는 사람, 요새는 책이 아니라 책장을 고르고 있는 사람,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나는 장서량 때문에 주기적으로 책을 처분하는 눈물겨운 이별 루틴이 있는 사람, 그리고 종이책의 가능성과 미래를 믿어보고 싶은 사람. 이런 사람들이라면 이 책의 유혹을 절대 뿌리칠 수 없을 것이다.
1956년 독일 묀헨글라트바흐에서 태어났다. 뮌스터 대학교에서 독일어문학과 사회학, 저널리즘을 공부한 뒤 1989년 같은 대학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부터 라이프치히 대학의 독일 문학 연구소에서 글쓰기를 가르쳤고,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에서 열리는 잉게보르크 바흐만 상 시상식 수석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1991년 《바다에 떠 있는 뚱뚱한 남자 Dicker Mann im Meer》로 독일 최고의 데뷔 소설에 주어지는 아스펙테 문학상을 수상한 뒤 소설가로 활동하며 잉게보르크 바흐만 상, 카롤리네 슐레겔 상 등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장편소설 《긴 토요일 Langer Samstag》, 《다종목 경기 Mehrkampf》, 《자카리아의 고양이 Zacharias Katz》, 에세이 《즐거운 휴일 Bewegliche Feiertage》, 《하루의 끝에서 Am Ende des Tages》 등이 있다.
추천사
미친 사랑의 한 사례 / 서평가 이현우(로쟈)
《책에 바침》이라는 책에 바침 / 유튜브 ‘겨울서점’ 김겨울
서문
몸체에 대하여 서문
새 책│헌책│큰 책과 작은 책│훼손된 책│불완전한 책│주석을 붙인 책
사용에 대하여
좋아하는 책│알맞은 책│부적절한 책│비싼 책과 싼 책│발견된 책│선물받은 책│사인된 책│독점된 책│빌린 책│분실된 책│훔친 책│두고 간 책│버린 책│금지된 책│학대받은 책│불살라진 책
전문성에 대하여
독본│사전│서평용 견본│초판본│낭독회용 견본│책공예
모여 있는 책들
공공 도서관│개인 도서관│ 첫째, 비축│둘째, 신분│셋째, 수집│넷째, 보관│서점│헌책방│이동 도서관│책장
맺음말